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지난주 다시 하락했다. 박 대통령의 취임 88주차 지지율은 1주일 전 대비 2.8%p 하락한 47.5%(‘매우 잘함’ 14.5% + ‘잘하는 편’ 33.0%)를 기록했다.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3.8%p 상승한 46.6%(‘매우 잘못함’ 26.4% + ‘잘못하는 편’ 20.2%)로 조사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격차는 6.6%p 좁혀진 0.9%p, ‘모름/무응답’은 5.9%p.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서울과 대전·충청·세종, 강원 지역, 20대·40대, 진보 및 중도성향 유권자 층에서 감소했는데, 대북전단 살포 관련 남남갈등과 남북고위급 접촉 무산,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재연기로 인한 공약파기 논란, 공무원 연금법 개정안 발의로 여야간 갈등이 심화되고 공무원들의 반발도 커지면서 지지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여야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는 28억 전세 공관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박원순 시장이 0.6%p 하락한 20.0%를 기록했으나 4주 연속 1위를 유지했고, 2위 김무성 대표는 0.1%p 떨어진 12.7%를 기록, 5주 연속 하락했으나, 하락세는 주춤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박원순 시장의 하락은 주로 충청권, 20대, 자영업·학생, 중도성향 지지층에서 나타났고, 김무성 대표의 지지율 하락은 서울과 대구·경북 지역, 30대, 진보성향 지지층에서 나타났다. 문재인 의원은 지난주와 비슷한 11.5%로 3위를 유지했다.
다음으로 김문수 위원장이 8.0%, 안철수 전 대표가 7.9%를 기록했고, 정몽준 전 대표는 6.8%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홍준표 지사가 5.0%, 안희정 지사가 4.3%, 남경필 지사 3.9% 순으로 조사됐다. ‘모름/무응답’은 0.1%p 상승한 20.0%.

한편 여권 차기주자 지지도에서는 김무성 대표가 14.5%로 16주째 선두를 유지했고, 김문수 위원장이 11.2%로 2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3위 정몽준 전 대표는 1.9%p 하락한 8.8%로 1주일 만에 다시 10%대 아래로 떨어졌다. 4위 홍준표 지사는 0.2%p 오른 6.1%를 기록했다. 이어 남경필 지사가 0.4%p 하락한 4.8%로 5위를 유지했고, 원희룡 지사가 0.6%p 상승한 4.6%의 지지율로 한 단계 올라선 6위를 기록했다. 7위는 이완구 원내대표가 0.4%p 하락한 4.3%를 기록했고, 8위는 1.9%를 기록한 유정복 시장으로 조사됐다. ‘모름/무응답’은 44.0%.
야권 차기주자 지지도에서는 박원순 시장이 20.7%로 12주 연속 1위를 유지했고, 문재인 의원은 1.0%p 상승한 14.7%로 2위를 유지했다. 3위 안철수 전 대표는 2.0%p 상승한 11.9%를 기록, 다시 10%대를 회복했고, 이어 4위 김부겸 전 의원이 1.5%p 하락한 7.3%, 5위 안희정 지사는 0.7%p 상승한 5.6%를 기록했다. 이어 6위는 정동영 전 장관이 3.4%로 나타났고, 김영환 의원과 정세균 고문이 각각 3.2%로 공동 7위를 기록했다. ‘모름/무응답’은 32.3%.
이번 주간집계는 2014년 10월 27일부터 10월 31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전화(ARS) 방식으로 무선전화와 유선전화 병행 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통계보정은 국가 인구통계에 따른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통계보정 이후 인구 구성비는 남성 49.6% 여성 50.4%, 20대 17.8% 30대 19.5% 40대 21.7% 50대 19.6% 60대이상 21.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이다. 자세한 주간집계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그래프 참조.
(리얼미터 트위터, 페이스북 : @realmeter)